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와 재테크

경제의 기초체력 다지기 2 - 경제공부하기.

반응형
SMALL
경제 습관들이기와 비슷한 것인데
교육적 관점으로 말하면 지. 덕. 체. 중 지식영역이라고 해야할까.


공부. 중요하다. 그런데 무엇을 어떻게 공부하는게 좋을까. 여기서 생각이 막막해 진다. 무작정 경제 이론책 읽기란 어렵고 집중도 안되고 이해도 못한다. 실생활에 관련이 적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선 관심있는 분야부터 파고드는게 좋다. 내가 주식에 관련이 있다면 주식차트를 매일 보고 주가를 기록해본다. 한 회사의 주식보단 코스피와 같은 전체 주가를 보는게 좋다.

그리고 오르고 내리는 그래프를 눈으로 확인한다. 그러다가 어느 정도 눈이 생기면 사고파는 기준을 정한다. 낮을때 사고 높아지면 판다. 욕심을 부리지 않는 선이 어디인지 판단이 들면 여윳돈으로 접근해 본다.


환율에 관심있다면 그날의 달러와 엔화같이 통화를 살펴본다.  기준이 생겼을때 오른다면 매도. 내렸을 때 매수.




그리고 그런 통찰을 얻게 해주는게 경제 신문인데 솔직히 초보자는 종이신문 구독료도 아깝다고 여길 수도 있어서(그만큼 활용을 못할수도 있어서) 추천을 못하겠다.





가장 처음엔 포털경제면을 훑어보는데 이것도 잘 못 찾아 읽을 경우는 경제신문 앱을 깔아서 간단하게라도 읽어보자.




특정신문사 앱도 좋고 경제신문 전체를 찾아 읽을 수 있는 앱도 있기에 취향껏 골라 읽자.





매일경제는 종이신문처럼 나오는 앱도 있어서 가독성이 좋을 것같다. 유료서비스인 것도 있으니 잘 확인하자.


그리고 기록. 하루하루 간단하게 기록해두는 것. 다이어리 달력에 숫자 기록도 좋고 일기처럼 신문기사 제목을 정리해도 좋다. 본인이 알아보기 쉬운 방법을 찾아 꾸준히 정보를 모으는 것이 핵심이다.


솔직히 전공도 아니기에 처음부터 어렵게 가지말자. 쉬워야 오래간다. 자극되는 경제마인드 책도 좋고 간단한 경제신문읽기도 좋다. 결국 관심있게 많이 접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