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와 재테크/주식

주식 주문 방법의 종류 알아보기

반응형
SMALL

주식 거래 방법은 보통, 시장가 주문, 최유선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조건부 지정가, 조건부여 등이 있다. 이름만 들어선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지만 각각의 주식 거래의 특징과 방법이 다르니 자신에게 맞는 여러 주식주문 방법을 알고 그에 맞춰 실전에 이용해 보자.


1. 보통 : 지정가 주문이라고 한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주문이기도 하다. 원하는 종목의 수량과 가격을 지정해서 주문하는 방법이다. 매수의 경우 지정된 가격이나 이하로 체결이 이루어지고 매도의 경우는 지정된 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체결된다.


2. 시장가 주문: 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가격이나 형성될 가장 유리한 가격 조건으로 매매거래를 하는 주문이다. 가격을 정하지 않고 원하는 종목과 수량만 입력한다. 매수의 경우 사려고 하는 수량이 모두 체결될 때까지 가격이 올려가면서 매수가 되기도 한다. 매도의 경우는 원하는 수량이 체결될 때까지 가격이 내려가면서 매도가 된다.



3. 최유리지정가 주문: 종목과 수량만 지정한다. 시장가 주문과 비슷하나 시장가주문은 주식 가격이 바뀌어도 그에 맞춰서 주문수량이 모두 체결되도록 하지만 최유리 지정가는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위의 호가창을 예시로 최유리지정가 주문시, 매수는 98500원에, 매도는 98400원에 주문이 들어간다.

4.최우선지정가 주문: 종목 및 수량은 지정한다. 매도호가의 경우 최우선 매도호가의 가격, 매수호가의 경우 최우선 매수호가의 가격으로 지정된다. 예를 들어 최우선지정가로 주문 매수라면 98400원에 거래가 성사되며, 매도시엔 98500원에 거래를 하는 것이다.

4. 조건부지정가 주문: 정규매매시간 동안은 지정가 주문으로 역할을 하지만 만약 체결되지 않은 경우, 장 마감 10분전 단일가 매매시간(15:20~15:30)에 시장가 주문으로 바뀌는 주문이다. 원하는 가격에 주식거래를 하고 싶고 당일 반드시 거래를 하고 싶은 경우 주문을 걸어놓는다.


5. 조건부여 주문: 일정한 조건을 추가하여 주문한다. 조건부여 주문에는 일부충족조건(IOC) 주문과 전량충족조건(FOK)주문이 있다. IOC는 체결할 수 있는 주문수량은 체결하고 나머지는 취소하는 것이며, FOK주문은 주문수량이 전부 체결되지 않을시 전량 취소가 되는 주문이다.



*활용방법

시장가 주문이나 최유리지정가 주문의 경우 IOC나 FOK의 조건으로 주문할 수 있다. 시장에서 시세가 급변하는 경우 주문가격을 얼마로 써야 할지 모를 때 시장가 주문이나 최유리지정가 주문에 조건을 더해서 주문하면 좋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