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와 재테크/주식

나무증권 트레이딩에서 조건식으로 좋은 회사 주식 고르는 방법

반응형
SMALL

행운을 부르는 JS님의 유튜브 방송은 주식 초보자들의 실전매매 기초를 다지기에 좋다.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방송이다.

좋은 주식 추천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초보자도 공부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좋은 방송이라 틈틈히 보면서 따라하고 있다. 아마 고수분들은 당연하게 알고 있겠지만 나같은 초보자는 알려줘도 까막눈이나 뭘 말하는지 이해를 못하는데 이건 차근차근 주식에서 봐야할 부분을 짚어주고 트레이딩 다루는 방법도 알려주니 반복해서 보면서 숙지하려고 한다.


우선 이 분의 프로그램은 키움증권에서 만든 영웅문이며 의외로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키움증권을 이용한다고 한다. 인터페이스나 여러가지로 편리하다고. 


그러나 키움증권은 주식수수료가 무료가 아니라서 나는 섯불리 가입을 하지 않았다. 현재 주식거래 수수료는 나무증권과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이 국내주식 수수료 평생무료, KB증권이 10년 무료, 미래에셋대우는 5년 무료(대신 해외주식 1년간 최소수수료가 없음)등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많이 하고 있다. 키움은 무료가 아니지만 원래 저렴한 편에 속했고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편리하다고 많이 애용하는 만큼 무료수수료 이벤트는 기대하지 않는게 좋을지도 모르겠다. 중요한건 자신에게 맞는 증권을 선택한다는 것이니까.


현재 나는 나무증권을 이용하고 있어서 영웅문의 조건검생과 많이 달라 버벅거리며 따라해봤다.

혹여나 다른 트레이딩 쓰는 초보들에게 도움이 될까 기록을 남겨본다.




좋은 기업 고르는 조건검색식 만들기

1. 영웅문은 조건검색이지만 나무증권은 종목검색-전문가검색으로 들어간다.<<나는 여기서부터 헤맸다 ㅠㅠ

초보티 내며 열심히 찾아 들어가면 검색창이 뜬다. 




 

2. 시가총액을 검색한다. 왼쪽 검색창에 시가총액 범위비교를 누르면 총액 범위를 정할 수 있다.

 500억~1조를 입력하고 수정을 누른다.




3. 주가이평(주가이동평균)을 검색해서 단기, 중기, 단기 3개  60 >120 >240를 정렬한다.

여기서부터 영웅문과 다른데 나무는 일단 3개 이평선이 뜨질 않는다. 그리고 검색 이름도 달라서 이평으로 검색하니 이평간 비교가 나온다. 2개 선만 비교가 가능해서 나는 2개 조건으로 나눠서 입력했다.

60>120 조건과 120>240 조건으로 따로따로 만들었다.




4. 이동평균이격도를 검색해서 일주기 단기이평 종가 60 장기이평 종가 120일 3%이내 근접으로 검색한다.

여기서 한참 헤맸는데 일단 나는 이격도의 정확한 뜻을 몰랐고, 3%이내 근접이라는 조건식 자체가 나무에선 없었다. 아무리 뒤져봐도 이격도 관련 조건이 영웅문과 달라서 다시 이격도의 뜻부터 확인해봤다.


 이격도 disparity(영어)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괴리율)를 나타낸다. 당일의 주가를 이동평균치로 나눠 구하며 단기 투자시점을 포착하는 기술적 지표다.


이격도가 100% 이상이라는 것은 당일의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 상태이고 반대로 100% 이하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상태를 뜻한다. 즉, 이격도가 100이상이면 단기적으로는 주가가 최근 상승했음을 뜻한다.

주가가 평균선에서 멀어지면 다시 평균선으로 돌아가려는 회귀성을 이용한 것이다. 
주가가 이동평균선에서 떨어져 있을 때는 근접하려는 속성이,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거의 일치하는 경우에는 떨어지려는 속성이 있다는 가정 아래 이격도 100 을 기준으로 너무 크거나 작으면 조만간 주가가 하락 또는 상승함으로써 그 괴리를 줄일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격도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아까 영상에서는 3%근접이라고 한 것은 두개의 이평선 간격을 말하는 것 같다. 그러나 저 숫자의 의미를 아직까진 잘 이해가 되지 않아 헤매고 있었다.

그런데 키움에서 이평선이격도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어서(!) 도움이 되었다. 역시 많이 쓰는 것엔 이유가 있나보다.


이동평균이격도: 두 개의 이동평균간의 이격도(근접도)로 검색.

단기이평/장기이평*100으로 계산한다. 


나무에서는 이평으로 검색한후 이평간 비교로 들어간다.

2%이내 근접이 100을 기준으로 상하 2란 뜻이니 3%이내라면 97%~103%으로 검색해야 하겠다.
그래서 단기60 장기120의 3% 이내 조건검색으로 수정했다.




5. 이동평균이격도 단기이평 20, 장기이평 240일 3%이내 근접으로 검색한다.

위와 같은 검색으로 숫자만 120, 240으로 추가한다.



6. 조건식을 저장한다.

만든 조건식을 저장하기를 누르면 사용자 조건저장 창이 뜬다. 기억하기 쉽게 나는 초보자검색연습이라고 그룹명을 쓰고 조건명을 알아보기 좋게 몇가지 조건이름을 넣고 저장했다.


이렇게 조건검색으로 걸러진 기업들 중에서 차트와 기업정보등을 확인하고 좋은 종목을 찾아내면 좋을 것 같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조건 검색이 있으니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서 찾는 연습을 해보자.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