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와 재테크/주식

기업가치를 계산하는 방법

반응형
SMALL

시가총액 =기업의 가치

기업가치 EV = 시가총액+부채-기업이 보유한 현금, 기업을 인수할 때 얼마가 필요한지를 의미함.

 

기업가치를 계산하는 방법

 

1. PER을 이용한 방법

PER (Price-to-Earnings Ratio)은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PER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같은 업종에서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이 비율은 기업의 주가를 기업의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 대비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종종 PE ratio라고도 용어가 사용되므로 헷갈리지 않길 바랍니다.

 

* PER= 시가총액/순이익 or 주식 한주당 가격/EPS

 

 

시킹알파에서 Valuation 탭의 상단부분에 P/E GAAP라는 부분이 바로 PER부분입니다. Non-GAAP와 GAAP부분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정된 표준 회계기준에 의해 산출된 재무 정보가 GAAP이므로 이부분으로 보는 것이 더 좋습니다.

Sector Median은 해당 산업부분 중간값을 의미하므로 왼쪽의 종목과 동종산업의 수치를 비교하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동종업계의 다른 기업과 비교하고 싶다면 Peers 탭의 Valuation 항목을 살펴보면 됩니다.

 

*산업 평균 PE Ratio Multiple과 비교, 비슷한 다른 기업의 PE Ratio Multiple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수치가 작으면 해당 기업은 저평가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연간 수익 추정의 숫자(Annual Revenue Estimate) 

* earning 탭에서 1년뒤 2년뒤 순이익 예상치를 평균값과 곱하여 기업 성장성을 예측하여 1년 뒤 기업의 시가총액을 계산해 볼수 있습니다.

 

 

2. PEG 주가 순이익 성장비율

PEG=PER/(성장률*100)

성장률 = 연평균 EPS 성장률(3~5년)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률을 함께 판단하는 지표, 지표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성은 좋은데 주가가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음.

 

피터린치: PEG ratio 0.5이하에서 매수하고 1.5이상에서 매도하라.

 

 

3. EV/EBITDA

EV=시가총액+부채-현금

EBITDA= EBITDA는 "이자비용, 세금, 감가상각비, 비용"의 영어 약어이며, 한국어로는 "이자비용, 법인세, 감가상각비 및 비용을 제외한 영업이익"을 뜻합니다. EBITDA는 기업의 재무 건강 상태와 경영 성과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마찬가지로 해당 산업의 평균치와 비교하여 고평가/저평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LIST